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세계경제Global Economy

미국

美 유동성 증가의 인플레이션 영향 평가

ㅁ [이슈] 최근 소비자물가 반등, 기대 인플레 상승 등으로 코로나19 이후 연준의 통화완화에
    따른 유동성 증가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지의 여부 점검

ㅁ [평가] 화폐수량설(MV=PY)과 달리 유동성 증가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경제구조 변화, 저축과잉, 유동성 조절 향상 등에 기인

    ㅇ (경제구조의 변화) 인구증가율 둔화·노령화 및 생산성 감소 등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
        전자상거래 발전 및 세계화 등으로 필립스 곡선 평탄화 등 물가상승 압력 완화
    ㅇ (저축과잉 지속)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부채 디레버리징을 위해, 코로나19 위기 이후에는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민간저축 증가
    ㅇ (유동성 관리 강화) 초과지준부리, 건전성 규제 강화를 통해 은행의 국채 등 고유동성 자산보유
        유인을 확대, 지준 증가를 통해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ㅁ [전망]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와 같이 점진적 물가상승 가능성이 높지만 유동성 공급 지속
    <글로벌 유동성 `21년 중반까지 +$15조/JPM>, 연준의 정책변화(고용중시/AIT를 통한
    일본식 디플레 차단) 감안시 내년 상반기 이후 인플레 위험이 부각될 소지(`21.4월 core
    PCE ~2.5%/Citi)

ㅁ [시사점] 『유동성 증가 → 인플레이션』 논거가 약화된 것은 사실이나 대규모 확장적
    재정지출이 병행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저성장 저물가 기조가 유지된다고 해도
    일시적으로 저성장 고물가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질 가능성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