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코로나19 이후 주요국의 과감한 정책 대응은 경제 및 금융시장 회복에 기여해왔으나
대규모 신용공급, 재정지출 및 부채 증가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의문 제기
ㅇ 향후에도 현재까지의 정책이 유지될 수 있을 지의 여부와 정책 경로를 가늠해 볼 필요
ㅁ [코로나19 정책대응] 주요국이 통화·금융 및 재정정책을 신속하게 병행하여 경제활동
셧다운에 따른 유동성 경색이 금융위기로 악화하는 것을 방지
ㅇ 금융시장 회복, 금융위기 예방 불구 정부부채 확대, 위험자산 과열 등의 부작용 초래
ㅁ [지속가능성] 저금리 환경이 유지되고 명목금리보다 명목GDP 성장률이 높을 경우 정부
부채 증가 가능(Capital Economics). 중앙은행 B/S 확대 여지도 상당(enormous)(JPM)
ㅇ (정부부채) 정부부채가 유례없이 높은 수준이긴 하나 이자율이 성장률보다 낮아 재정적자가
늘어나도 일정수준이면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Capital Economics)
- 일본의 사례 등 감안시 정부부채 수준의 한계까지는 아직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 부채
수준(debt stock)보다 이자지불(debt service)의 지속가능성이 중요(JPM)
ㅇ (중앙은행 B/S) 저물가 및 저금리 기조 지속시 B/S 확대 여지는 ‘상당’(enormous)(JPM).
연준의 B/S는 연말 $8조(Citi)~$10조(더들리 전 뉴욕연은 총재)까지 가능
ㅁ [통화량 증가 영향] 재정지출 및 중앙은행 B/S 증가로 <본원통화(유통통화+지준)↑ →
통화량↑>이 두드러지고 있으나 금융위기 이후 통화량, 명목국민소득, 자산가격 간의 관계
등을 감안할 때 이번에도 물가보다 자산가격 상승효과가 더 클 가능성
ㅁ [정책경로] 상당한 기간 자산매입 및 직접 신용지원, 은행대출, 부채기반 재정지출 확대 등
코로나19에 대한 현재까지의 정책대응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ㅇ 중장기적으로는 경기침체 심화로 재정지출이 확대될 경우 정부부채 관리가 통화정책의 목표가
되는 재정지배(Fiscal dominance/통화기반 재정지출=정부부채 화폐화) 및 금융억압(Financial
Repression/국내저축을 이용한 부채부담 완화)이 도입될 가능성
ㅁ [종합평가] 저물가·저금리 전망 감안시 B/S 확대, 정부부채 증가로 귀결되는 현 정책대응은
지속가능. 재정지배는 중앙은행 독립성 저해 → 물가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하게 검토
될 것이며 금융억압은 암묵적으로 시행될 소지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