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네팔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 SNS를 통한 소요사태가 격화되면서 그 원인과 영향에
대한 국제금융시장의 관심이 증대
ㅇ `22년부터 시위가 발생한 6개국 중 5개에서 Z세대가 시위를 주도한 공통점
ㅁ [경제적 요인] 구조적 경기부진에 美 관세 등 대외요인까지 가세하여 주력 경제층인 청년인구에
피해가 집중되면서 관련 불안이 누적
ㅇ (경기부진) 시위발생국들의 성장부진(1인당 GDP 세계평균 40% 미만), 저임금에 따른 청년층의 인력 유출 문제 등이 부각되면서 사회불안을 유발
– 이외 개별국 특수요인(말레이-고물가, 네팔-높은 해외의존도 등)도 경제안정을 제약
ㅇ (美 관세) 8월부터 부과된 미국의 관세가 저부가 제조업에 편중된 아시아 취약국에 피해를 유발. 이외 중국산에 대한 고율 환적관세도 남아시아ㆍ동남아 우회생산국에 타격
ㅁ [정치적 요인] 특히 대다수 시위발생국의 정치적 부패가 심각한 상황에서 특권층에 대한
불신까지 누적되면서 사회체제 전반에 대한 불만이 증폭
ㅇ (권위주의와 부패심화) 시위발생국이 대부분 권위주의적인 가운데, 정부부패ㆍ 정경유착 문제도 부각(부패인식지수 100위권)되면서 Z세대가 중시하는 자유ㆍ
공정 가치와 충돌
ㅇ (계층갈등) 고위층의 사치와 기성 세대(네팔, 방글라, 스리랑카 최고지도자 모두
70세 이상)에 대한 지나친 복지혜택 등으로 사회적 불평등이 확대되면서 갈등이 고조
ㅁ [평가 및 영향]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이나 향후 디지털 기반 시위가
확산될 경우 신흥국 성장을 주도하는 아시아의 경제동력이 약화될 우려. 한편 여타
지역의 극단주의와 맞물리면서 정치불안이 글로벌 리스크의 새로운 축이 될 가능성도 상존
ㅇ 글로벌 시위발생 건수가 `19년 대비 세 배가량 늘어난 가운데 시위강도·피해까지
심화. `10년 아랍의 봄 사태와 같이 시위가 파키스탄·이란 등 취약국으로 전이될
가능성 유의
ㅇ 네팔, 스리랑카 등 일부국의 반중정서와 최근 미국과 유럽 등을 중심으로 한 극단적
이념 쏠림 현상이 맞물리면서 국가 간 대립 등 글로벌 경제의 불안이 확대될 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