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국제금융International Finance

외환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원화의 민감도 분석

ㅁ [이슈] 원화는 하반기 들어 세계주가에 대한 탄력성이 커지고 일시적으로 두드러진 약세를
    나타내기도 하면서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가 재조명될 여지를 보임

ㅁ [민감도 배경] 원화가 글로벌 리스크에 민감하다는 인식은 과거 위기 때 취약성을 드러냈던
    경험적 근거와 주요 위험요인에 대한 높은 노출도 등 구조적 근거에 기인

    ㅇ 경험적 : `97년 및 `08년 외환ㆍ금융위기 당시 원화는 약세 폭(`97년 최대 57%, `08년 최대 42%)이
        전세계적으로 두드러졌고(전세계 4~5위) 회복하는 데도 상당 기간(1~2년)이 소요
    ㅇ 구조적 : 한국경제가 지닌 구조적 특성(높은 수출 비중 등)을 근거로 글로벌 리스크 요인이 발생할
        때마다 주된 영향을 받는 통화로 지목되는 사례가 반복

ㅁ [민감도 비교] 원화는 여전히 글로벌 리스크에 민감한 통화군群에 속해있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민감도가 축소. 특히, 코로나19 1차 충격 때는 상당히 안정적으로 반응

    ㅇ 베타(β) : 과거 전세계 31개 주요 통화 중에서 가장 큰 편이었던 원/달러 환율의 세계주가에 대한
        베타값(≒탄력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작아져 현재 중위권에 위치
        - `97년 당시 원화 베타값(0.73)은 전세계에서 두 번째(첫 번째는 인도네시아 1.48)로 높았으나 
           `08년(0.47)에는 8번째(호주 0.68, 브라질 0.65 등), `20년(0.18)에는 18번째(노르웨이 0.69 등)
    ㅇ 백분위수(환율 분포) : `20년 코로나19 충격 당시 다수 통화의 가치가 사상 최저 수준(백분위수
        90~100%)에 분포되었으나, 원화는 과거 위기 때에 비해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에서 등락
        - 코로나19 초기(`20.3월)에 예기치 못한 증권사 ELS 헷지 관련 증거금 납입 수요가 발생 하면서
           환율이 일시 급등(백분위수 90%). 단, 6개월 만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

ㅁ [전망] 그동안 원화의 회복력을 높여온 배경들이 지속될 것임을 감안하면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는 장기적 기준으로 볼 때 크지 않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나 `22년에는 대외
    여건이 원화의 변동성을 키우는 방향으로 변화할 가능성에 유의

    ㅇ 원화 약세 여건이 조성되더라도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채권투자자금 유입 ▲거주자 외화예금
        출회 등이 약세 압력을 흡수하면서 약세의 폭과 기간을 줄이는 효과 기대
    ㅇ 다만, 현재 대두되어 있는 대외 불안요인 중 ▲美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경기 둔화
        ▲ 고유가 지속 등은 원화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잠재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