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국제금융International Finance

원자재

OPEC의 원유생산 향방 및 시사점
ㅁ [현황] OPEC 원유생산은 '22년 10월부터 시작된 감산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최근 27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고, OPEC의 생산목표도 큰 폭으로 하회           

          ㅇ OPEC의 1월 원유생산은 일일 2,657만배럴로 전월보다 49만배럴 감소.
                이는 '21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OPEC이 설정한 생산목표를
                200만배럴 이상 하회
          ※ OPEC은 국제유가 부양을 위해 '22년 10월 ~ 금년 1분기까지 6회에 걸쳐 감산을 발표.
             동 감산에는 생산목표의 하향 뿐만 아니라 자발적 감산(생산목표는 유지)도 포함되어 있어
             최근 원유생산이 생산목표를 크게 하회 


ㅁ [OPEC 감산정책] OPEC은 러시아 등과 함께 금년말까지 감산을 지속할 계획이나 자발적 감산
      종료(3월말) 이후 감산정책의 방향을 놓고 불협화음이 노출될 가능성 

          ㅇ OPEC은 작년 6월에 이미 금년말까지의 생산목표를 발표하며 감산정책을 3년 연속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표명(※금년 생산목표는 작년말 대비 일일 -25만배럴) 
          ㅇ OPEC은 4월 이후의 자발적 감산에 대해 ?연장 ?중단 ?확대 등을 놓고 조만간 결론을
                내리겠으나 그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노출되고 감산 추동력이 약화될 소지
                    -  자발적 감산을 ‘연장’할 가능성이 우세. 하지만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합의가
                        지연될 가능성도 상존하며, 이 경우 사우디 단독으로 자발적 감산을 이어갈 소지 

ㅁ [산유국 생산경쟁] 감산정책 지속에 따른 산유국의 부담이 커지고 있어 OPEC 회원국별로
       증산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곤란. 이럴 경우 미국 셰일붐과 더불어 산유국 간 증산 경쟁이
       가시화될 소지  

          ㅇ 지난해 OPEC 감산 합의는 사실상 무산된 경우(※감산 반발로 앙골라는 탈퇴 결정)가 많았으며,
                금년에도 생산목표 상향을 요구하는 회원국들의 저항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 
          ㅇ ▲美ㆍ캐나다ㆍ브라질 등의 원유생산 호조 ▲러시아의 中ㆍ印 시장 점유율 잠식
                ▲이란(감산 면제)과 앙골라의 증산 전망 등도 OPEC의 감산정책 지속에 걸림돌 요인
          ㅇ  감산을 통해 국제유가를 끌어올림으로써 재정수입을 늘리려는 OPEC의 전략이
                 시장 점유율 하락이라는 역풍을 맞이함에 따라 연내 증산으로 선회하는 회원국이 나타날 소지

ㅁ [시사점] 국제유가는 주요국 금리인하, 세계 원유수요 회복 기대 등으로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나, OPEC 등 산유국의 생산경쟁이 촉발될 경우
      국제유가의 상승폭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