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VB 파산
ㅁ [은행 파산의 전조] SVB* 파산 사태에서 주목해야 하는 세 가지는 △예금
급증 △예금 편중 및 △높은 채권투자 비중
* `83년부터 기술기업 및 스타트업에 대해 대출, 예금, 투자 및 현금관리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
ㅁ [파산 및 정책 대응] SVB는 고객들의 예금인출*이 확대됨에 따라 예금을
상환하기 위해 증권을 대량 매각하며 손실이 발생했으며 증자에도 실패
* 고객 예금은 `22.3월 $1,980억 → `22.12월 $1,730억 → `23.2월 $1,650억으로 축소
ㅁ [미국 지역은행 위험] 은행시스템의 유동성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 금리 상승으로 유동성이 줄고 있어 우려 증대. 비보험예금 비율이
높은 은행들이 특히 취약
2. Credit Suisse 구제 계획(Rescue Deal)
ㅁ [경과] 당시 상당한 규모의 고객자금 유출을 겪고 있던 Credit Suisse는
미국 SVB 및 Signature Bank 파산과 맞물려 그 정도가 악화
(주가 30% 이상 급락 등)
ㅁ [논란] CS 정리 과정에서 AT1채권의 전액 상각 조치로 주주보다 채권자
들이 더 많은 손실을 입으며 상당한 논란을 야기
3. 금융정책 영향
ㅁ [미국 정치권의 반응] SVB 파산이 ‘은행의 관리실패(mismanagement)’
라는 점은 양당 및 규제 당국이 모두 동의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 원인에
대해서는 양당 간 견해 차 존재
ㅁ [정책적 시사점] 이번 은행불안은 통화정책, 자본 및 정리계획, 회계 기준,
유동성 규제, 예금 보험, 관리 감독 등 광범위한 금융정책에 영향을 미칠
소지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