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지난해 글로벌 ESG 펀드로의 자금 유입이 부진하고 ESG에 대한 회의론이
부상하면서 ESG 트렌드가 후퇴. 이에 따라 그 배경을 살펴보고 올해 주시해야 할 ESG
관련 이슈들을 점검
ㅇ (ESG 후퇴 배경) △러-우 전쟁에 따른 공급차질과 인플레이션 및 에너지가격 상승
△경기침체 우려 △금리 및 비용 상승 △ESG 무용론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
ㅁ [`23년 주시해야 할 ESG 4대 이슈]
ㅇ (① ESG 1.0 → 2.0 시대) ESG 경영이 종전 내재화 단계를 넘어 재무적 성과로 이어지는
시기로 진입하는지가 관건. 기업은 핵심가치에 부합하는 ESG 경영 이슈를 발굴하고 ESG를
비용이 아닌 투자로 인식하며 기업마다 ESG 요소를 차별화할 전망
ㅇ (② ESG 공시의무 강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ESG 정보의 공시를 의무화하는 법제도
도입이 전세계적으로 확산. 올해 6월 국제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 (ISSB)는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의 최종안을 공표할 예정
ㅇ (③ 그린워싱 규제 강화) 지난해부터 ESG 펀드의 명칭과 분류 등 투명한 공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으며, 금년에도 이와 같은 규제 강화 행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이를 위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 논란이 지속될 전망
ㅇ (④ 반ESG 캠페인 확산)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美 민주당에 대항하여 공화당은 ESG
투자기관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텍사스 등 공화당 지지기반의 주(州)들은 ESG
반대 법안(Anti-ESG bills)들을 제정하여 추진 중
ㅁ [종합평가] 지난해부터 ESG의 실효성 논란이 거세지고 있으나 그 중요성을 감안하면
ESG가 일시적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에 대한 지속적인 대비가 필요
ㅇ 코로나로 인한 양극화 심화, 기후위기 악화 등으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필요성이
확대. 넷제로 추진 과정에서 기존 산업계와의 마찰이 불가피하겠지만 대규모 기술 투자, ESG 전문
인력 양성, 지속가능금융 확대 등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긴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