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금년들어 인도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이 확대되고 루피화
가치가 사상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한 조짐
ㅇ 루피화는 올해 아시아 통화 중 가장 큰 폭의 약세를 보이며 7월초 달러화대비 사상 최저수준
(7/5일, 68.9500) 경신. 외국인 증권자금은 지난해 순유입에서 금년 채권 $63억, 주식 $8억 순유출
(7/13일 기준)
ㅁ [배경] 신흥국 전반의 risk off 기조 속에 ▲유가 상승에 따른 경상적자 확대 ▲내년 총선을
앞둔 포퓰리즘 정책과 재정악화 전망 ▲은행권 취약성 심화에 따른 성장저해 우려 등이 반영
ㅇ 유가상승: 높은 원유수입 의존도로 물가상승 압력과 경상적자 누증 우려가 확대
- 인도는 세계 3대 원유소비국으로 연료수요의 80%를 석유에 의존(총수입의 23%, 원유순수입
/GDP 2.5%). 금년 유가상승으로 1분기 경상적자($130억, GDP대비 1.9%)가 전년동기($26억)
대비 큰 폭 확대된 데 이어 6월 상품수지 적자($166억)는 5년래 최대치 기록
ㅇ 재정건전성 악화: 집권여당 BJP(인도국민당)의 내년 총선('19.5월) 승리 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농가지원을 중심으로 정부의 선심성 정책이 증가하면서 재정적자('17년 GDP의 6.9%) 및 정부부채
(70.2%)가 확대될 전망
ㅇ 은행권 취약성: 은행자산 부실화(NPL비율 FY11년 2.4%→ FY18년 11.7%) 속에 통화긴축에 따른
은행권 유동성 감소 등으로 하반기 이후 경기회복세가 둔화할 소지
ㅁ [평가] 대외건전성 개선에도 불구 경상적자 심화 및 재정건전화 추진력 약화 등으로
환율약세와 신흥국 리밸런싱 영향이 아시아 국가 중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소지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