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국제금융International Finance

원자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원자재 구리(Copper) 시장 전망 및 평가
ㅁ [이슈] 국제 구리 가격은 '21년 이후 고공행진을 지속, 최근에는 $11,000에 근접. 구리는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로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시장 전반의 상황과 전망을 점검

          ㅇ 구리는 금속계의 팔방미인으로 열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부식 저항성이 강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전기차,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그린에너지 등의 필수 소재로 각광

ㅁ [시장 동향]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선물가격은 10.15일 $10,641로 금년 들어 21.4%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 수준으로 상승('20년 팬데믹 저점 대비 두 배 이상 상승). 최근 가격
      강세는 공급측 요인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탄탄한 수요 전망도 일조

          ㅇ 인니 Grasberg 광산(9월), 칠레 El Teniente 광산(8월), DR콩고 Kamoa-Kakula
                광산(5월) 등에서 사고로 공급차질 발생.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기대 등으로 투자심리도 개선
          ㅇ 에너지 전환,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에서의 대규모 수요 기대감도 매수세 유입에 일조

ㅁ [전망] 세계 구리 수급은 올해와 '26년까지는 공급측 요인, 장기적으로는 수요측 요인에
      의한 구조적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될 소지. 이에 발맞춰 국제 구리 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상황에 따라 가격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

          ㅇ (수급) 주요 기관들은 올해 공급부족 및 내년 공급부족 규모 확대를 전망. 장기적으로는
                그린에너지 전환, 차량 전동화, AI 인프라, 전력망 현대화 등으로 탄탄한 수요 기반을 예상.
                반면 공급은 광석 품위 저하 등으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평가
                    –    Grasberg, El Teniente, Kamoa-Kakula 등 3개 광산에서의 생산 차질분이
                           '26년 중 최대 59만 톤(세계 생산의 2.1%)에 이를 가능성
          ㅇ (가격) 주요 IB들은, 현재 전례 없는 구리 공급차질에 직면해 있고 이는 단기간에
                해소될 문제가 아니라며 구리 가격의 강세 추세가 '26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일부에서 구리 가격이 내년 중 최대 $15,000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 구리 가격이
                         강세를 이어가는 과정에서 주요국 경기지표, 투기자금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 상존

ㅁ [시사점] 구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석유’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재고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패권 경쟁도 심화될 전망.
      첨단 산업이 주력인 우리는 전략적 관점에서 장기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

          ㅇ 구리는 재활용성이 뛰어나므로 도시광산, 스크랩 시장 등에 대한 정책 지원을 강화할 필요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