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장기금리 제한적 하락 배경] 최근 장기 국채금리가 상방 압력을 받는 이유는 높은 정부
부채와 재정적자로 인해 재정의 역할이 정책의 최우선 고려사항이 되는 재정우위
(Fiscal Dominance) 상황이 인플레이션 경계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
ㅇ (높은 정부 부채와 재정적자) 주요국들은 러-우 전쟁, 미 관세 등 글로벌 여건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지출을 늘려야 하는 상황이며, 정치 불안정성은
금리 변동성 확대 , 국채입찰 저조→ 장기금리 상승요인
ㅇ (재정우위 우려) 연준에 대한 트럼프의 정책금리 인하 강압은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행동으로 다른 국가들도 포퓰리즘 정권 집권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단기금리 하락 → 기대 인플레이션 증가 → 기간 프리미엄 상승 → 장기금리 상승요인
ㅁ [평가] 미 관세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물가 영향 등이 불확실한 가운데 주요국 정책금리의
인하는 수익률 곡선 steepening으로 이어질 전망. 기대 인플레 제어가 어려워질 경우
달러 약세, 대미 증권 투자자금 회수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에 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