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4월 들어 미-중 무역갈등이 격해지는 가운데 중국 위안화의 약세가 가속화.
이를 둘러싼 중국 정부의 정책 목적과 위안화 환율의 향방에 대한 관심이 고조
ㅇ (환율 동향) 역내 위안화(CNY)는 달러당 7.35위안(4/10일 장중 7.3511위안,
`07년 이후 최고)을, 역외 위안화(CNH)는 7.40위안(4/8일 7.4290위안,
출범 이래 최고)을 상회하면서 장기 고점을 경신
ㅇ (각국 입장) 중국 정부는 외환정책의 투명성과 환율의 탄력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최근의 약세에 대한 입장은 미표명.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난
ㅁ [中 외환정책 대응] 기준환율 상향 고시와 창구지도를 병행하면서 완만한 위안화
약세를 용인. 환율 여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의 경우 2분기 중 완화 시사
ㅇ (기준환율 운용) 중국외환거래센터CFETS는 위안화 기준환율을 6일 연속 상향
고시(4/2일 7.1775 → 10일 7.2092). 동 기간 달러인덱스가 하락(-3.3%)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약세 용인 의도가 뚜렷
ㅇ (창구지도) 인민은행은 비공식 경로를 통해 역내 외환시장에서 쏠림 현상
(환율 상승에 따른 미 달러화 매수 증가)이 과도하게 나타나지 않도록 국영은행들의
외환 매매 성향을 제어
ㅇ (통화정책 여건) 현재까지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2분기 통화정책
방향을 소폭 전환하고 통화정책 완화 조치(지급준비율 인하, 정책금리 인하 등
⇒ 위안화 약세 여건 강화)를 예고
ㅁ [정책 목적] 중국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미국에 대한 강경 대응 태세를 취하는 한편,
대내적으로는 경기부양을 위해 점진적 금융여건 완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ㅇ (강대강 대응) 중국 정부의 위안화 약세 용인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4/2일)
전후로 가시화된 점에 비추어 볼 때, 위안화 환율의 진행 방향을 통해서도 강경
대응 의지를 시사
ㅇ (미세조정) 미-중 무역갈등으로 중국의 중속성장 목표 달성에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금융 여건을 완화할 필요성이 커졌으나, 이로 인한 자금유출도 방지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
ㅁ [평가] 향후 미-중 갈등이 심화될수록 위안화 약세가 가팔라질 가능성이 작지 않은 만큼,
위안화 약세 압력이 신흥국 또는 주변 亞 통화로 파급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ㅇ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다수 국가*들의 최대 전방참여(forward participation)
국가이므로, 미-중 무역갈등 추가 심화 시 對중국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 대한
경제적 충격이 커지 면서 중국 주변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외환시장 불안이
확대될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