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세계경제Global Economy

일본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전환 이후 재정 전망 및 평가(Ⅷ)
ㅁ [이슈] 일본은행(BOJ)이 금융정책 정상화에 나선 가운데 최대 채무자인 정부가
       ‘금리 있는 세상’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

ㅁ [일본의 재정상황] 일본 정부의 기초재정수지는 1992년 이후 32년 연속 적자를
       기록 하고 있으며 국채발행잔액은 1990년의 6배 수준으로 확대

          ㅇ 2023년 기초재정수지는 30.4조엔 적자(5.1%, GDP대비)를 기록할 전망이며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반영하는 정부부채비율(255.2%, IMF)은 대표적 고부채국
                이탈리아의 1.8배에 육박

ㅁ [2024년 전망] 확장적 재정에서 지속가능한 재정으로의 정책전환이 시도되고 있으나
      대규모 세출을 수반하는 성장전략 및 경직적 세출 증가가 세출 축소 여지를 제한

          ㅇ 방위비 증액: 가장 크게 늘어난 항목은 방위관계비로 2023년도 6.8조엔
                (방위력 강화자금 이입 영향 제외 기준)에서 2024년 7.9조엔으로 1.1조엔(16.6%) 증가
          ㅇ 구조적 세출 압력 확대: 고령화 대응으로 사회보장관계비(2.3%)가 증액되고
                일본은행 통화 정책 전환에 따른 금리 상승 전망으로 국채비(7.0%)도 크게 증액
          ㅇ 여타 정책 수행 여력 약화: 3대 세출(사회보장관계비, 국채비, 지방교부세교부금)이
               세출의 3/4를 차지 하는 가운데 공공사업관계비(0.0%), 교육ㆍ과학비(1.0%) 등은
               실질 기준 감액

ㅁ [관전포인트] ▲인플레이션 환경 지속 ▲국채 투자자 수요 변화 ▲국민부담률 추이
       ▲2025년 이후 재정건전화 목표 설정 등이 중장기 재정정책의 결정 요인 

          ㅇ 인플레이션 환경 지속: 인플레이션 환경이 정착되고 명목 GDP 성장률(G)이
                명목 금리 (R)를 상회하는 경우 기초재정수지가 흑자 전환되지 않아도
                정부부채비율이 하락 가능
          ㅇ 국채 투자자 수요 변화: 그러나 일본은행이 국채매입을 축소하는 가운데서도
                국채 투자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며 G > R인 상황이 지속될 수 있을지는 불분명
          ㅇ 국민부담률 상승: 한편 성장전략 재원 마련, 정부부채비율 하락 유도 과정에서의
                국민 부담률 상승은 경제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요인
          ㅇ 2025년 이후 재정건전화 목표 설정: 금리 상승으로 재정건전화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정치리스크, 다년도에 걸쳐 진행되는 산업 전략 등이 재정규율 회복을 어렵게 할 가능성

ㅁ [평가 및 시사점] 일본 경제의 최대 위험요인인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하고 안정적 경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긴요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