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근래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중동 지역에 대한 투자진출 관심이 고조.
이에 중동의 경제 상황과 성장 지지 요인, 주요 리스크 등을 종합 점검
ㅁ [경제 동향 및 전망] 원유 의존도가 높은 중동 국가들은 최근 2년여간 고유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시현. 금년에는 전년대비 낮은 유가 등으로 경상·재정 흑자폭이
축소될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높은 수준의 성장률이 지속될 전망
ㅁ [성장 동력] 국제유가가 균형재정 수준을 상회하는 한 중동 산유국 경제를 강력히
뒷받침하는 데다, 각국 정부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지각 변동에 발맞춰 수출판로를 다변화하고
非석유부문 육성을 위한 산업다각화에도 총력 중
ㅇ 에너지 가격 강세 지속 : GCC 6개국의 `23년 재정균형유가 평균은 배럴당 66달러로
유가가 급락하지 않는 한 흑자재정을 유지(대외균형유가는 이보다 더 낮은 $45로 경상흑자 지지)
ㅇ 수출판로 다변화 : 중동은 세계 최대 에너지 자원의 보고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 세계적으로 러시아산 원유·천연가스 등의 에너지를 대체할 공급처로 부각
ㅇ 산업다각화 노력 : 중장기적으로 저유가-저성장 연결고리에서 탈피하기 위해 非석유 부문에서
신성장 동력(재생에너지, 제조·건설, AI, 식량안보, 스마트인프라 등)을 모색하는 데 총력
ㅇ 비즈니스 환경 개선 : 각종 규제 완화 등 기업 친화적인 여건을 조성하여 글로벌 투자 증대를
유인(국가경쟁력지수 중 조세정책·기업여건 등 ‘정부 효율성’ 부문에서 UAE 3위, 카타르 7위)
ㅇ 견실한 재정여력 : 전 세계 국부펀드 규모 상위 20개 중 절반이 중동 국가의 국부펀드인 만큼
풍부한 자본력을 기반으로 전략산업 육성 등 각국의 정책 추진 실행 동력을 확보
ㅁ [주요 리스크] 국제유가 상방압력 강화 및 사우디-이란 관계 정상화 등에 따른 단기 위험 완화에도 불구,
중동 경제는 구조적으로 유가 변동성에 취약한 만큼 신사업 추진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상시 노출
ㅁ [시사점]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 중동의 양호한 경제 전망 등으로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력적인 투자처로서의 자리매김이 강화될 가능성. 중동 경제의 상승기류에 편승하여
선제적으로 기회 요인을 모색하는 한편 내재 리스크에도 유의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