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올해 3월부터 美 연준을 필두로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강력한 동반 통화긴축을
지속함에 따라 조만간 글로벌 경기침체가 도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증
ㅇ 시장에서는 G20국 가중평균 기준금리가 `22.1분기말 2.69%에서 `23.1분기 4.76%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Blmg. 컨센서스, 1년래 침체 확률 美 50%, 유로존 72.5%, 英 60%, 9.30일)
ㅁ [현재 글로벌 경기 위치] 글로벌 월별 성장률은 `20.6~`22.1월 중 견조한 모습이 었으나
연준의 긴축이 시작된 지난 3월 이후 장기추세를 하회하고 모멘텀도 약화
ㅇ 월별 글로벌 GDP 추정치의 장기 추세와 단기 모멘텀을 교차해 볼 경우 `22.7월 글로벌 경기는
침체국면 경계에 근접해 있을 가능성
ㅁ [향후 전망] 정량적·정성적 분석에 따르면 강력한 통화긴축發 금융상황 악화를 배경으로
글로벌 경기가 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소지 증가
ㅇ (정량적 분석) 글로벌 GDP와 금융상황지수를 투입하여 시차 동조성과 그랜저 인과관계, VAR
충격반응함수를 도출해보면 금융상황이 GDP를 3개월 내외에서 선행
ㅇ (정성적 평가) 금융주기의 경기주기 견인력과 단기내 유례없는 금리인상 폭, G3 동반 침체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글로벌 경기의 하방리스크 가중
ㅁ [시사점] 코로나19發 `20년의 경기침체는 경제활동 봉쇄에 기인한 것이어서 활동 재개로
회복 강도가 양호했던 반면, 추후 도래할 경기침체는 40여년래 최대의 동반 통화긴축 등에
기인하는 것이어서 수요와 자본투자 등이 훼손될 우려
ㅇ 다만 추후 실업증가 등으로 美 연준의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확산되면서 금융상황 이 점차 개선
되거나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와 같이 중국의 대규모 재정부양 등이 시행될 경우,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도 존재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