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동향] 미국 연방정부 관세 수입은 4월부터 평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했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예상한 규모는 크게 하회*. 소비자물가의 경우 관세 인상에 따른 상방 압력이 점차 뚜렷해지고는 있으나 당초 전망에 비하면 완만한 수준
* 트럼프 행정부 연 $5,000억 이상 예상, `25.1~10월 관세수입은 총 $2,240억
ㅇ 관세: 관세 수입이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치보다 적게 징수되면서 관세 징수액을 바탕으로 집계한 실제 실효관세율(관세수입/수입액, 8월말 기준 12%)은 실효관세율 추정치(18.6%)를 크게 하회
ㅇ 소비자물가 상승률: 관세 인상의 물가 영향은 6월 무렵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실효관세율 추정치 상승 속도 대비 물가상승세는 완만한 수준을 유지(근원 PCE 금년 저점4월 2.6% → 금년 고점8월 2.9%)
ㅁ [배경] 관세 수입과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당초 예상을 하회하는 것은 미국 기업들의 ▲관세 부담 완화 수단 활용 ▲소비자가격 조정에 대한 신중한 태도 등에 기인
ㅇ 관세 부담 완화 수단: 미국 CBP관세국경보호청의 납부 연기 프로그램 활용, 보세창고 및 기타 관세 우회 수단 등을 활용하여 관세 납입 규모를 최소화
ㅇ 가격조정 보류: 고물가 부담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가격 결정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가운데, 대법원의 IEEPA 관세 판결 불확실성 등을 감안하여 관세 비용 전가를 최대한 늦추는 모습
ㅇ 기타: ▲트럼프 행정부의 거듭된 관세 발표 및 유예 ▲중간재 수입 비중 확대 ▲미국 교역 상대국들의 수출 경쟁 등도 관세의 물가 영향을 분산시킨 것으로 추정
ㅁ [전망] 미국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장기간 흡수하기는 어려운 만큼 내년초를 기점으로 소비자물가 전가폭이 확대될 가능성. '26년 하반기부터는 주거비 중심의 완만한 디스인플레이션 재개가 예상되나 2% 물가목표를 상당폭 상회할 소지
ㅇ 상품물가 상방압력 확대: 향후 수익성이 저조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관세비용 전가 움직임이 점증하면서 근원 상품 인플레이션은 `26.1~2분기 중 정점을 기록할 가능성
ㅇ 서비스 부문 고물가 지속: 주거비 부문은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이 있으나 비주거 부문은 가처분 소득 증가에 기반한 견조한 소비가 이어지면서 디스인플레이션이 지체될 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