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국제금융센터(원장 이용재)는 2022년 11월 17일 「2023년 세계경제ㆍ국제금융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설명회를 개최
ㅇ 이용재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2023년은 세계적인 고물가ㆍ고금리ㆍ고환율 등 3高 현상의 후유증이
가시화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진단하면서, “주요국의 고강도 통화긴축 파장으로 글로벌 불안정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
ㅇ 아울러 “세계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금융시장은 일부 회복을 모색 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으나, 통화긴축 파장이 예상보다 클 경우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모두 악화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
ㅇ 특히 “내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신용리스크 부상 △금융시스템 불안 △부채 부실화 등의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과 함께 △미중 갈등 격화 등 지정학적 충돌의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
ㅁ 2023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3% 내외로 금년(3.1%)에 이어 둔화될 전망.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09년 -0.1%), 코로나19 팬데믹(`20년 -3.0%) 제외시 지난 20년간
가장 낮은 수준
ㅁ 내년 국제금융시장은 불안정성이 큰 가운데 일부 회복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
ㅁ 국제금융센터는 2023년 세계경제 및 국제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이슈로 다음과 같은
5가지를 선정
① 주요국 통화정책의 향방
② 글로벌 통화전쟁
③ 글로벌 달러 유동성 위축의 파장
④ 중국 경제 경착륙 위험
⑤ 글로벌 지정학ㆍ지경학적 위험
【참고】 설명회 자료집은 센터 홈페이지(www.kcif.or.kr)에 행사 시작 전 업로드 예정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