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최근 동향] 최근 글로벌은행을 중심으로 사무업무를 자동화하는 Robotic Process
Automation(이하 “RPA”)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어 그 현황 및 전망에 대한 관심이 증가
ㅇ RPA 개념 : 사람이 수행하는 규칙적이면서 인지능력에 기반을 둔 반복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대신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화를 의미
※ RPA 단계 : ①지원형(Assisted) RPA, ②능동형(Unassisted) RPA, ③인지형(Cognitive) RPA
ㅇ 글로벌은행 대응 : 글로벌은행은 RPA 전담부서를 설립하는 등 적극적인 도입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RPA 확대를 위한 투자 의향도 매우 높음
ㅁ [RPA 활용 분야] ▲고객서비스 ▲준법감시 ▲업무편의성 지원 ▲금융사기 방지 ▲운영위험
감소 등 금융업무 전분야에 걸쳐 활용 가능
ㅇ 고객 서비스 : 계좌 및 대출금액 조회 등 단순반복되는 고객 문의에 챗봇 형식의 RPA를 활용하여
응대하고 기존 직원들은 고객만족도 개선을 위한 전략 개발에 집중
ㅇ 준법감시(Compliance) : 금융거래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자금세탁(AML) 등 불법거래를
방지하고 예금ㆍ대출 실행 시 규정준수 여부 검토 등 준법감시에 활용
ㅇ 각종 업무 편의성 지원 : 대출, 지불, 발급 등 기본적인 은행업무 수행 시에도 서류의 디지털화
및 검토, 신용점수 산정, 대출가능 여부 판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ㅇ 금융사기 방지 : 머신러닝을 통해 금융사기를 학습하고 금융거래 모니터링을 통해 잠재적인
사기 거래 후보를 식별하여 관련 부서에 통보
ㅇ 운영위험(Operationcal Risk) 관리 : 사이버 보안, 내부통제 등을 감시하는 로봇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24시간 리스크 요소를 감시하고 적절한 대응을 수행
ㅁ [RPA의 장점] ▲효율성(Efficiency) 증대 ▲생산성(Productivity) 강화 ▲유연성
(Flexibility) 개선 ▲비용절감 효과 등
ㅁ [평가 및 시사점] 금융산업에서 RPA는 현재 도입 초기단계인 것으로 보이나, 글로벌은행을
중심으로 높은 관심을 갖고 있어 성장 가능성은 높음. 향후 선제적 정책지원 및 사이버
리스크 예방을 통해 RPA 도입과정에서 혼란을 방지할 필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