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수년간 국제금융시장에서 급격한 가격변동 현상(Flash Crash)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알고리즘 매매의 시장 영향에 대한 논쟁이 가열
ㅇ 대부분의 flash crash 현상이 뚜렷한 악재가 없는 상황에서 일어나면서 다수 분석기관들은
알고리즘 매매를 주된 요인으로 지목
ㅁ [알고리즘 매매의 정의 및 현황] 매매 결정에서 호가 생성 및 제출까지 컴퓨터가 수행하는
거래.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
ㅇ 미국 내 주식거래 중 알고리즘 매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60~80%로 추산. 2010년대 중반까지
크게 성장한 HFT(고빈도거래)는 최근 수년간 마진 축소로 위축
ㅇ 외환 및 채권시장은 장외거래(OTC) 비중이 높아 주식시장만큼 활발히 사용되지는 않고 있으나
거래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거래네트워크(ECN) 도입이 늘어나면서 알고리즘 매매가
확산되는 추세
ㅁ [주가 영향에 대한 평가] 알고리즘 매매가 주가급락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비판이
확산되는 가운데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반론도 제기
ㅇ (주가급락의 원인이라는 시각) Trend Following과 같은 추세추종 전략이 널리 사용되면서
주가의 진폭이 통상적 수준보다 크게 확대되는 현상이 빈번
ㅇ (주가급락과 직접적 관계는 없다는 시각) 시장 변동성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며
알고리즘 매매가 주가급락의 주된 요인이라는 주장은 부당하다는 의견
ㅇ (명확한 규명 곤란) ▲다양한 알고리즘의 시장 공존, ▲개별 알고리즘에 대한 외부 조사 곤란,
▲밀리~나노초 단위의 대규모/고빈도 거래 등의 특성 상 현재까지는 알고리즘 매매의 주가 영향을
논리적ㆍ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 다만 시장 변동성 증폭, 쏠림현상 야기 등에 대해서는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
ㅁ [전망 및 시사점] 알고리즘 매매의 양적 확대와 함께 AI와 접목하여 알고리즘의 非직관성
(blackbox-ness)이 커질 것으로 예상. 금융시장의 미시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시장
모니터링, 정책 대응 등 측면에서 기존과 다른 접근방식이 요구
ㅇ 알고리즘 매매의 보편화로 금융시장의 미시구조(microstructure)가 크게 변화하였으며,
경제ㆍ유동성ㆍ정책 등 거시환경과 함께 시장의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는 것에 주목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