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대외 위험] 미국 통화정책과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신흥국은
높은 부채비율, 낮은 원자재 가격 등 불안요인이 부각
ㅇ [미국, 금리인상 시점에서 속도로] 완만한 경기회복 흐름이 이어지며 12월 FOMC에서
금리인상 기대 증가. 통화정책 정상화의 초점이 인상속도로 이동하면서 불확실성은 여전
- 현재 금리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연준 위원간 의견이 일치될 전망이나 이후 경제전망 및
금리정책 행보에 대해서는 이견이 부각될 가능성
ㅇ [중국, 경제개혁 중 성장률 변동성 확대 소지] 경제구조 개혁이 과잉설비 조정을 촉진하며
제조업경기 및 신규투자에 부담으로 작용
- 제조업경기 부진이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경우 부양책이 수반되는 경우가 반복되면서 성장률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
ㅇ [신흥국, 기업부채 부실 우려] '08년 위기 이후 GDP 대비 부채비율이 감소(정부부채
제외)한 선진국과 달리, 신흥국은 비금융기업을 중심으로 레버리지가 확대
- 대부분 신흥국들은 비금융기업의 GDP 대비 부채비율이 금융위기 직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중국·터키·브라질 등 최근 성장 관련 리스크가 부각된 국가의 부채비율은 대폭 상승
ㅇ [원자재가격 재차 하락] 원유와 산업용 금속을 중심으로 원자재가격이 재차 하락하면서
원자재 수출국을 중심으로 신흥국 불안여지 확대
- 낮은 원자재 가격으로 인해 원자재 수출국들의 통화가치 불안, 경상·재정수지 적자 및 성장
둔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전망 또한 부정적
- 향후 OPEC의 원유감산 거부 및 美 금리인상 속도,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 등이
원자재가격 변동성을 확대시킬 소지
ㅇ [브렉시트, 프렉시트, 픽시트] 8월 구제금융으로 Grexit(그리스) 리스크는 감소하였으나,
Brexit(영국) 가능성은 여전. 일각에서는 파리테러 및 경기둔화로 Frexit(프랑스)와
Fixit(핀란드) 거론
- 유로존 또는 유럽연합 탈퇴 관련 리스크가 단시간 내에 실현될 가능성은 크게 낮은 편이나,
현실화될 경우 시장 불안 불가피
ㅁ [시사점] 최근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완화되었으나 G2 리스크에 더해 신흥국 불안이
부각되는 모습. 특히 신흥국 기업부채의 부실화 여지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
향후 무역갈등 관전 포인트: 중국의 3국 우회 수출과 미국의 대응
2025.04.22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율 계산법 추정
2025.04.03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의 미국 경제 구상
2025.03.28우크라이나 전면 휴전 가능성 및 중장기 리스크 요인
2025.03.24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